이탈리아에서 결혼한 이야기 Part V - 한국에 혼인신고하기
2020년 11월 19일,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결혼식을 올리면서 합법적인 부부가 되었다.
하지만 혼인신고를 정말로 마무리 하기 위해서는 모국에도 혼인신고를 해야한다.
우리는 둘 다 외국인이었으므로 나는 한국에, 신랑은 프랑스에 혼인신고를 해야 했다.
오늘은 한국에 혼인신고를 하는 절차에 대해 설명하려고 한다.
요약!!!
결혼식 >> 약 2주 후 결혼증서 발급 >> 혼인신고서 및 기타 서류와 함께 한국에 우편 발송 >> 서류 도착 후 한국 전산에 등록될 때 까지 최대 일주일 소요
한국에 혼인신고를 하기 위한 절차와 준비물은 주밀라노 총영사관 홈페이지에 친절하게 나와 있다.
그래도 궁금한 점이 있으면 메일로 문의하면 아주 친절하게 답장 해 주신다. 영사관 분들 정말 최고!!
overseas.mofa.go.kr/it-milano-ko/brd/m_7503/view.do?seq=1212473
혼인신고 상세보기|가족관계등록주 밀라노 대한민국 총영사관
혼인신고 및 구비서류 안내1. 혼인 당사자가 모두 한국인인 경우1) 총영사관에서 혼인 신고ㅇ 구비 서류 : 혼인신고서 1부, 신분증(여권,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 체류허가증(국적 확인) , 기
overseas.mofa.go.kr
밀라노 영사관을 통해 혼인신고를 하는 것이 정확하고 마음이 편할 것 같았으나 밀라노까지 가기가 번거로웠다.
그래서 결국에는 서류를 준비해서 재외국민 가족관계등록사무소에 직접 우편으로 보내기로 결정했다.
총영사관을 거치지 않고 직접 우편으로 혼인신고를 하는 경우
<한국인 혼인 당사자>
- 기본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체류허가증(국적 확인용)사본, 신분증 사본
<외국인 혼인 당사자>
- 신분증 사본
<기타>
- 혼인신고서
- 혼인증서 등본 (원본 + 한글 번역본)
- (해당시) 성본협의서
1. 혼인증서(Certificato di matrimonio) 준비
기본증명서, 혼인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는 Nulla osta 발급받을 때와 똑같이 하면 된다. 당연히 번역은 필요없다.
그럼 위의 서류 중 제일 문제가 되는 것은 아마 혼인증서 등본일텐데, 본인이 결혼식을 한 Comune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어떻게 발급받을 수 있는지 안내가 되어 있다.
토리노의 경우 아래 링크에서 혼인증서 등본을 신청하고, 접수증을 가지고 Anagrafe Centrale (Via della consolata)에 가서 줄 서서 기다릴 필요 없이 바로 Sportello 12로 가면 된다. 수수료도 없다.
나중에 Carta di Soggiorno 신청할 때도 필요하니 넉넉하게 세 장 신청했다.
▼ 혼인증서 온라인 신청하기 - 토리노
www.comune.torino.it/servizi-civici/richieste/
Richiesta di rilascio di certificati di Stato Civile (Nascita, Matrimonio, Morte)
www.comune.torino.it
단, 조심해야 할 것은 전산에 혼인이 등록될 때 까지 시간이 좀 걸린다는 것.
신청할 때는 내가 전산상 혼인등록이 되었는지 알 수 없어서 나는 헛걸음을 했다 ㅠㅠ
거기 직원이 "왜 이렇게 빨리 왔냐, 전산에 등록되는데 보통 한 달 걸린다"라고 했다.
그럼 중간에 온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냐고 물었더니 없다고 하면서 "전화번호 남기면 혼인신고 완료 후 증서 발급 후 연락 주겠다"라고 했다.
꼭 한마디라도 더 물어보세요!! 안 물어보면 절대 먼저 안 가르쳐줍니다 ㅠㅠ
아무튼 Anagrafe 방문일로부터 약 3일 후 (결혼 후 2주 지났을 때) 증서가 준비되었다고 전화가 왔다.
아마 통상 2주 걸리는데 혹시 늦어질까봐 넉넉하게 한 달이라고 얘기한 것 같다.
증서가 준비 되었으면 이제 번역을 해야 한다.
전문번역가에게 맡길 필요 없이 그냥 본인이 번역 후 하단에 번역인 정보(이름, 연락처, 생년월일 등)만 적으면 된다.
나도 직접 번역했고 아무 문제 없이 혼인신고가 되었다.
2. 혼인신고서 작성
아래 재외국민 가족관계등록사무소에 가면 혼인신고서 작성 방법이 아주 자세히 나와있다.
배우자가 외국인인 경우 작성한 혼인신고서 예시도 있으니 천천히, 그리고 꼼꼼히 확인하며 작성한다.
왼쪽 상단에 있는 신고날짜도 까먹지 말자.
▼ 혼인신고서 작성하기
kfamily.scourt.go.kr/new/report_guide/report_guide02_05.jsp
재외국민 가족관계등록사무소
해외 출생•혼인•이혼•사망에 대한 상황별 맞춤신고, 등록절차 및 증명서 발급 안내 등
kfamily.scourt.go.kr
3. 한국에 서류 발송
이렇게 준비된 서류를 재외국민 가족관계등록사무소에 우편으로 보내면 된다.
▼ 재외국민 가족관계등록사무소 주소(2021년 2월 11일 기준)
서울 서초구 법원로3길 14, 4층 401호(서초동)
나는 DHL로 보냈는데 보험까지 해서 60유로 나왔다.
이 날 로마에 있는 프랑스 대사관에도 혼인등록 신청서를 보냈는데 24유로 정도 나왔다.
사실 우체국으로 보내면 더 싸지만 마음이 불편해서 그냥 돈을 썼다 ㅎㅎ
신랑한테 말했더니 "아이고~ 돈 많이 썼네 고생했어" ㅋㅋㅋㅋㅋㅋ
사실 서류는 12월에 모두 준비가 되었으나, 연말이라 밖에 사람들이 많고 공휴일도 많다는 핑계로 우편발송을 미루고 있었다.
서류 도착일로부터 통상 일주일 정도 소요된다고 했는데 실제로는 3일정도 걸렸다.
결국 미루지 않고 최대한 빨리 준비한다면 한 달 내로 한국에 혼인신고를 마칠 수 있다.